본문 바로가기
패션

직물의 후가공

by 양재동 2024. 2. 25.
반응형

제직 또는 편성이 끝난 피륙을 생지(gray fabric)라고 합니다. 생지에는 사용원료의 특성을 충분히 발휘시키거나 감촉이나 외관,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의 후가공이 사용됩니다. 최근에는 가공 기술의 진보와 고급화와 함께, 다양화되고 있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여러 가지 목적과 성능을 갖는 후가공 방법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후가공 방법에는 촉감과 외관에 변화를 주는 가공과 새로운 특성이나 성능을 부여하는 기능 변화 가공 방법이 있습니다. 각각의 목적과 상황에 맞는 직물이 생산되고 있으며 환경을 위한 지속 가능한 소재 발굴을 위해 폐 페트병 등의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리사이클 직물의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촉감과 외관 변화의 가공을 위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플록킹 가공 Flocking Finish

                                                               

플록킹 가공 Flocking Finish은, 생지의 표면에 플록 (0.1~수 mm 정도의 가늘고 짧은 섬유)를 접착 시키는 방법입니다. 원단위에 접착제를 바르고 그 위에 플록을 얹혀서 고압 정전기에 의한 흡인 작용을 이용하여 플록을 접착시킵니다. 기모의 길이에 따라 벨벳, 벨루어, 모피까지 만들 수 있습니다. 플록을 문양으로 만든 플로킹 프린트도 이 가공의 중류 중 하나입니다. 블라우스, 드레스 등에 사용됩니다.  워싱 가공 Washing Finish은 수세의 개념으로, 데님 의류의 워싱에서 시작되어 면, 아마, 셀룰로오스계 섬유 등에 다양하게 적용 되고 있습니다. 오래 입은 듯한 빈티지(vintage) 스타일과 희끗희끗한 외관의 페이드아웃(fade-out) 스타일등 다양한 외관의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워싱 가공은 스톤 워싱, 케미컬 워싱, 샌드 워싱, 바이오 워싱 등이 있습니다. 바이오 워싱 가공 Bio Washing Finish는 셀룰라아제 효소를 사용한 워싱 방법으로 효소 가공이라고도 합니다. 면섬유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셀룰라아제는 섬유 표면을 분해시켜 깨끗하게 정리된 표면을 만듭니다. 색상은 더 옅게, 촉감은 더 부드럽게 만드는 작용을 합니다. 기모 가공 Napping Finish 은 직물 또는 편물에 침포를 사용하여 표면에 잔털이 일게 하는 공정 입니다. 천의 감촉을 부드럽게 하거나, 천을 두껍게 보이도록 합니다. 보온력을 높이기 위한 가공법으로도 사용되며 가공면에 따라 양면 기모와 편면 기모가 있습니다. 겨울용 코트, 재킷, 모포 등에 사용합니다. 리플 가공 Ripple Finish 은 리플은 '잔물결'이라는 뜻으로 가공에 따라서 시어서커와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는 면직물입니다. 수산화나트륨으로 날염해서 그 부 분을 오그라들게 하여 날염하지 않은 부분의 길이가 남아서 부풀어 올라온 것처럼 된 것을 말합니다. 이 가공을 리플 또는 플리세(plisse) 가공이라 합니다. 피치 스킨 가공 Sueding Fnish은 복숭아 표면 같은 미세한 잔털을 일으켜서 부드럽고 따뜻한 촉감을 부여하는 가공으로 섬유 표면에 샌드 페이퍼를 사용합니다. 모든 섬유 소재에 적용 가능합니다. 주름 가공 Parmanent Pleats Finish은 세탁 후에도 주름이 영구적으로 지속되도록 섬유에 열을 가하여 주름을 고정시킵니다. 물에 의한 팽윤이 적고 열가소성을 가진 합성 섬유를 50% 이상 함유한 직물을 사용하고, 일정한 주름을 넣어 건열 또는 습열 열처리를 해서 주름을 고정하는 방법입니다. 

기능의 변화를 위한 가공은 다음과 같습니다. 항균 소취 가공은 섬유에 항균제를 가공하여 악취나 무좀의 원인이 되는 세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합니다. 항균제의 종류는 무기 항균제, 유기 항균제, 고분자계 항균제, 천연계 항균제등이 있습니다. 양말이나 속옷을 비롯하여 나이트웨어, 침구, 스포츠 웨어 등에 적용됩니다. 흡습가공은 흡습성이 낮아 정전기 발생 등의 결점이 있는 합성섬유를 개선하기 위해 흡습성을 부여하는 가공을 말다합니. 일반적으로는 흡수성이 있는 물질을 직물 등에 고착하며 섬유의 제조 단계에서 크래프트 중합 등에 의해 개량하는 것도 있습니다. 난연가공은 방화가공, 방염가공이라고도 합니다. 섬유제품이 잘 타지 않도록 하는 가공입니다. 면 등의 셀룰로스계 섬유는 타기 쉬우며 특히, 합성섬유가 탈 경우는 유독가스가 발생해서 인체에 유해합니다. 린, 염소 등의 방염제를 결합하여 잘 타지 않도록 가공합니다. 방화복, 텐트, 커튼, 상업용 제품에 사용됩니다. 본딩 가공은 라미네이트가공의 일종이라고도 할 수 있는 가공입니다. 서로 다른 종류의 2장의 천을 접착제 또는 폼으로 접착시켜 전혀 새로운 특성과 느낌을 갖는 원단으로 만듭니다. 보온성이 좋아 방한 의류에 사용되며, 독특한 느낌을 연출하는 의류 디자인에도 사용됩니다. 하이그로시 코팅은 매끄러운 표면에 광택감을 주는 코팅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코팅, 전사 프린트 등이 있습니다. 외부 오염과 마찰을 방지하며, 생활방수 및 방풍의 효과로 레저용 의류와 가방 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발열 가공은 흡습성을 높여 인체에서 배출되는 땀을 빠르게 흡수하여 섬유 내 수분을 머물게 하는 원리로 체온을 유지하게 하거나, 열을 반사 하여 의류 내에 가두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외에 열전도성이 높은 은실을 사용하거나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라믹 소재와 태양열을 활용한 섬유 소재들이 있습니다. 코팅 가공은 생지에 합성수지, 고무, 기름 등의 재료로 엷은 막을 씌워 표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가공입니다. 폴리우레탄이나 아크릴의 합성수지를 코팅한 것은 합성피혁이나 통기성 방수 의류로서 사용됩니다. 투습 방수 가공은 물은 튀기지만 수증기는 통과하는 기능을 천에 부여하는 가공다입니다. 이러한 가공을 통하여 비오는 날 젖지 않고, 체내의 수증기는 발산 하여 상쾌한 느낌이 있게 합니다. 흡한, 속건의 기능을 갖으며 스포츠, 레저 의류에 사용됩니다. 

반응형

'패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직물 및 재생&합성섬유  (0) 2024.02.23
마직물과 모직물  (0) 2024.02.23
면직물과 면 혼방 직물  (0) 2024.02.22
레이스와 니트의 종류  (3) 2024.02.20
지퍼와 와펜에 대하여  (2) 2024.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