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켓의 역사와 스타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장. 자켓에 대하여
01. 자켓이야기
자켓은 상체에 착용하는 허리에서 엉덩이 사이 길이의 앞여밈 겉옷을 의미 하며 남성복에 그 유래를 두고 있습니다.
형태면에 있어서는 하의와 함께 한 벌 이거나 단독의 것이 있으며, 보통은 앞트임의 겉옷이지만 매우 광범위한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활동적인 의복으로 실생활용 활동을 위해 간소화 된 겉옷의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현대에는 예복, 외출복, 파티복, 스포츠복 등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여성의 경우 스커트, 팬츠와 코디네이트하여 격식을 갖춘 의복으로 활 용되고 있으며 대부분 블라우스나 셔츠를 입은 위에 걸쳐 입기도 하는 의복 아이템입니다.
영어로는 jacket, 프랑스어로는 jacquette라 하며 소재, 용도,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자켓이라는 용어의 어원은 14세기 후반에 군인이 착용했던 자크(Jacque) 에서 파생되었다고 일컬어집니다. 15~16세기 초 프랑스와 영국에서 조끼 형태의 더블릿(Doublet)이 형태적 유래였다고 하며 저킨(Jerkin)이라 불리기도 하는데 점차 겉 외투 안에 입는 허리 아래로 내려오는 길이의 소매가 달 린 짧은 웃옷 형태로 변화해 갔습니다. 18세기 무렵부터는 허리 아래로 길어지며 코트와 자켓이 혼용된 르댕 고트 가운(Redingote gown) 이나 프록 코트(Frock coat)의 형태로 발전해갔습니다. 19세기 신사복에 이르러 오늘날의 형태로 확립되었는데 이 시기부터 자켓 은 가장 일반적인 겉옷으로 취급 되기 시작하였습니다. 특히 19세기 중반 이후 자켓은 베스트(Vest)라 불리는 셔츠와 자켓 사이의 의복과 더불어 실용성을 위한 남성 의복의 형태가 되었습니다. 19세기 후반 무렵부터는 칼라의 위치가 아래쪽으로 조정되고 라펠이 넓어지는 등의 형태상의 변화를 이루며 오늘 날의 자켓 모습으로 자리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정립된 남성을 위한 외출 겉옷인 자켓은 여성복에 있어서는 지금의 형태보다는 헐렁한 상의로 17세기부터 착용되기 시작하였고, 여성들이 상의와 스커트를 따로 입기 시작한 19세기에 이르러 자켓 보디스 라고 지칭되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기 시작하였습니다.
02. 자켓의 역사
15세기~18세기
자켓의 원형인 14세기의 남성복 코타르디(Cotehardie _중세 시대의 여성과 남성 모두가 입은 튜닉형의 원피스 드레스의 변형으로 기장이 짧고 몸에 딱 붙는 형태의 옷)는 장소와 시대에 따라서 변화했으며, 형태와 명칭도 변화했습니다. 15세기에는 어깨부터 가슴에 패드를 넣어 부풀린 푸르푸엥(Pourpoint)이, 17세기 중후반에는 코트 형태의 쥐스토코르(Justaucorps)가 남성의 공식 복장이 됩니다. 코트나 자켓, 그리고 바지 의 한 세트를 전부 같은 옷감으로 만든 슈트(Suit) 형식의 디자인도 이 시대에 시작되었습니다. 쥐스토코르는 18 세기에도 여전히 남성의 공식 복장이 되었는데 처음에는 귀족들만 입을 수 있었으나 차츰 하향 전파가 이루어져 18세기에는 남성이라면 모두 착용할 수 있도록 되었습니다. 그러나 18세기 로코코 시대에 들어서면서 자수나 버튼 등으로 더욱 화려하게 장식된 코트 형식의 아비 아 라 프랑세즈(Habit a la francaise)가 귀족들 전유의 패션이 됩니다.
19세기
19세기, 산업 혁명을 빨리 맞이한 영국에서는 질 좋은 옷감이 생산되고 테일러링 기술도 향상되었습니다. 19세기 이후의 남성복은 영국, 런던을 중 심으로 퍼져 나가기 시작했으며, 현재까지 이어져 온 테일 코트, 라운지 자켓 등 칼라와 라펠이 있는 테일러드 칼라의 상의가 등장했습니다. 여성의 복장은 19세기 까지는 대부분 원피스 형식이었으며 일부 상류계급의 여성들이 승마복의 복장으로써 자켓과 스커트를 한 세트로 착용하였습니다. 19 세기 중반부터 여성의 활동범위가 여행이나 스포츠 등으로 넓혀짐에 따라서 활동적이고 기능적이며 탈의가 간편한 투피스 형식의 복장이 등장 했습니다. 1880년대에는 버슬 스타일에 테일러드 자켓을 맞춰 입는 스타일이 유행했습니다. 19세기 말에는 당시 유행했던 S자형 스타일에 테일러드 자 켓과 스커트, 그리고 블라우스를 맞춰 입는 스타일이 유행했습니다.
20세기
20세기의 남성복은 다양화되는 사회 배경과 함께 테일러드슈트를 일상복으로 착용하게 됩니다. 프록 코트나 테일 코트를 포멀 웨어로 하여 T.P.O.(Time,Place,Occasion)에 맞춘 착장이 시작되었습니다. 또한, 두 번의 세계 대전 으로 인해 여성들의 사회적 진출이 시작되면서 테일러드 자켓과 스커트를 한 벌로 입게 되고, 워킹웨어나 일상복으로써 슈트를 입게됩니다. 1960년대에는 입생 로랑이 팬츠 슈트 를 발표하는 등 여러 디자이너가 등장하면서 자유로운 코디를 즐기게 됩니다.
03. 자켓의 스타일
자켓의 스타일은 자켓의 길이와 실루엣, 소재, 컨셉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의복 전체의 실루엣과 디테일, 착용자의 체형과 소재에 따라 자 켓의 길이, 형태가 결정되어야 합니다. 자켓의 길이에는 복부를 노출시키는 짧은 길이의 미드리프(Midriff)와 허리라인(Waist) 까지 오는 길이, 엉덩이 까지 오는 힙라인(Hip), 엉덩이가 가려지는 라인의 튜닉(Tunic), 무릎 라인 (Knee)까지 오는 긴 길이의 자켓이 있습니다.
'패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켓과 코트 디자인을 위한 요소 (0) | 2024.02.09 |
---|---|
코트의 명칭과 디자인 (0) | 2024.02.08 |
코트에 대하여 (0) | 2024.02.07 |
자켓의 디자인 (0) | 2024.02.06 |
자켓의 명칭 (0) | 2024.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