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

직물의 후가공 제직 또는 편성이 끝난 피륙을 생지(gray fabric)라고 합니다. 생지에는 사용원료의 특성을 충분히 발휘시키거나 감촉이나 외관,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의 후가공이 사용됩니다. 최근에는 가공 기술의 진보와 고급화와 함께, 다양화되고 있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여러 가지 목적과 성능을 갖는 후가공 방법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후가공 방법에는 촉감과 외관에 변화를 주는 가공과 새로운 특성이나 성능을 부여하는 기능 변화 가공 방법이 있습니다. 각각의 목적과 상황에 맞는 직물이 생산되고 있으며 환경을 위한 지속 가능한 소재 발굴을 위해 폐 페트병 등의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리사이클 직물의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촉감과 외관 변화의 가공을 위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플록킹 가공 Fl.. 2024. 2. 25.
견직물 및 재생&합성섬유 1. 견직물 견직물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누에고치에서 얻어지는 동물성 섬유가 견 섬유(silk fabric)입니다. 천연섬유 중 유일한 필라멘트 섬유입니다. 견사의 종류에 따라서 생사 직물, 옥사 직물, 야잠사 직물, 견방사 직물, 주사 직물 등이 있습니다. 생사를 짠 후 정련을 통해 얻어진 정련 견사는 생사보다 부드럽고 우아한 광택을 갖습니다. 생사로 된 오간자는 정련 견과 달리 뻣뻣한 촉감을 갖습니다. 견사의 굵기는 데니어(denier)를 사용하며 값이 클수록 굵은 섬유입니다. 견직물의 종류입니다. 새틴 Satin은 조직의 명칭이면서 동시에 직물의 명칭입니다. 광택감과 함께 부드러운 촉감을 갖고 있으며 공단이라고도 부릅니다. 제직 방법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새틴이 나타나고 있으며 견 이외에 면, .. 2024. 2. 23.
마직물과 모직물 1. 마직물 마직물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마섬유는 식물의 잎이나 줄기에서 얻어지는 식물성 섬유로 아마(linen, flax) 저마(ramie), 대마(hemp), 황마(jute) 등의 섬유가 있습니다. 아마가 의류 소재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저마섬유는 우리나라에서 모시로, 대마섬유는 삼베라 불립니다. 황마 섬유는 실내 장식용이나 포대, 로프 등으로 사용됩니다. 마사의 굵기는 리 번수(lea count)를 사용하며 숫자가 작을수록 굵은 실을 나타냅니다. 저마 Ramie는 모시 섬유의 표백한 실을 원료로 한 평직물로 양질의 저마는 '상포' 라고 불렸습니다. 열전도성과 염색성이 높으며 여름용 의류, 한복, 스포츠 웨어, 손수건, 레이스, 커튼, 심지 등에 다양하게 사용합니다. 고급 직물, 손수건, 레이.. 2024. 2. 23.
면직물과 면 혼방 직물 면직물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부드럽고 쾌적한 촉감의 섬유로 흡습성이 우수한 면섬유는 우수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진 섬유로 자연친화적이고 관리가 편하며 염색성이 우수합니다. 면섬유의 모든 방적 공정을 거쳐 섬유 배열이 규칙적이고 광택이 우수한 코머사(combed yarn) 와 정소면 공정을 거치지 않고 만들어 섬유 배열이 불규칙한 카드사(card yard)가 있습니다. 섬유조직 중 하나인 능직(twill weave)은 사문직이라고도 합니다. 날실 또는 씨실이 두 올이나 그 이상 건너뛰어서 교차되어 비스듬한 방향으로 무늬가 나타나게 짜는 방법입니다. 직물 표면에 생기는 능선의 방향과 각도는 밀도, 조직 및 직물을 구성하는 실의 꼬임 방향에 따라 다르며 능직은 분수로 표기합니다 면 옥스퍼드 Cotton Ox.. 2024. 2. 22.